본문 바로가기
  • 솔라워시코리아
태양광 정보

수상 태양광 기술의 장점과 한계

by 솔라워시코리아 2025. 2. 24.

 

 

수상 태양광 장단점

1. 수상 태양광이란?

수상 태양광(Floating Solar Power)은 물 위에 부유 구조물을 설치하고 태양광 패널을 부착하여 전력을 생산하는 기술이다. 주로 댐, 저수지, 호수 등의 수면을 활용하며, 기존의 지상 태양광 발전과 차별화된 특성을 가진다.


2. 수상 태양광의 장점

2-1) 토지 이용 효율성 증가

수상 태양광은 기존의 육상 태양광 발전소처럼 넓은 토지를 필요로 하지 않는다. 이는 특히 토지 확보가 어려운 국가나 지역에서 중요한 이점이 된다.

구분 육상 태양광 수상 태양광
공간 활용 토지 필요 수면 활용
토지 비용 10~30억 원/100MW 없음
환경 영향 산림 훼손 가능 수생 생태계 영향 가능

 

2-2) 패널 효율 증가

수면 위에 설치된 태양광 패널은 물의 냉각 효과로 인해 온도가 상대적으로 낮아진다. 이는 패널의 효율을 높이는 요인으로 작용하며, 일부 연구에서는 육상 태양광보다 5~15% 높은 발전 효율을 보인다고 보고된다.

구분 육상 태양광 수상 태양광
평균 온도(°C) 45 35
발전 효율 17~19% 19~22%

 

2-3) 수자원 관리 기여

태양광 패널이 수면을 가림으로써 증발량을 줄일 수 있다. 이는 가뭄이 빈번한 지역에서 수자원 보존에 긍정적인 역할을 할 수 있다.

지역 연간 증발량 감소 ()
한국 1,200,000
인도 3,500,000
미국 2,800,000

 

2-4) 이중 활용 가능

댐이나 저수지와 같은 기존 인프라와 결합하여 발전 용량을 늘릴 수 있으며, 수력 발전과 연계할 경우 더욱 안정적인 전력 공급이 가능하다.


3. 수상 태양광의 단점과 한계

3-1) 초기 투자 비용 증가

수상 태양광은 부유체, 계류 시스템, 방수 및 내습 설비 등의 추가적인 장치가 필요하여 초기 설치 비용이 높다.

비용 요소 육상 태양광 수상 태양광
설치 비용 (억 원/100MW) 120~150 150~200
유지보수 비용 (억 원/) 5~10 10~20

 

3-2) 환경적 영향

수상 태양광이 설치된 지역에서는 수생 생태계에 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있다. 빛 차단으로 인해 수중 식물의 광합성이 제한될 수 있으며, 이는 어류 및 수서 생물의 생태계에 변화를 줄 수도 있다.

영향 요소 예상 영향
빛 차단율 20~40%
수온 변화(°C) ±1~2

 

3-3) 기상 조건에 취약

물 위에 떠 있는 구조물은 강풍, 태풍 등의 자연재해에 더 취약할 수 있다. 따라서 구조물의 강도와 안전성을 확보하는 것이 필수적이다.

기상 조건 영향
태풍 풍속 (m/s) 30~50
파고 변화 (m) 0.5~2.0

 

3-4) 유지보수의 어려움

부유체와 태양광 패널이 물 위에 있기 때문에 유지보수 작업이 더 까다롭다. 특히, 수면의 오염 문제와 부유체의 내구성 유지가 중요한 과제로 남아 있다.

유지보수 항목 육상 태양광 수상 태양광
청소 빈도 (/) 4 6
부유체 교체 주기 () - 10~15

수상태양광 미래 전망

4. 수상 태양광의 미래 전망

수상 태양광은 기존 태양광 발전의 한계를 보완하면서도, 환경적 영향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기술이 발전하고 있다. 향후 내구성이 뛰어난 부유체 개발, 수생 생태계를 고려한 설계, 그리고 수력 발전과의 연계를 통한 하이브리드 발전 방식 등이 주요 연구 분야로 떠오르고 있다.

이러한 기술적 발전과 함께 정책적 지원이 뒷받침된다면, 수상 태양광은 신재생에너지 확대에 중요한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된다.